9. 도서관/__사. Network

데이터센터 선번 관리 운영 방법

행복 금융 2008. 10. 21.
이번호는 데이터센터 통신 기반 구조 설계의 마지막 회로 선번 관리 운영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TIA/EIA-942 표준에서는 이 부분을 부록편으로 다루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몇가지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기준을 제외하고는 TIA/EIA-606-A 표준을 따를 것을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우선 TIA/EIA-606-A의 내용을 살펴보고, TIA/EIA-942 표준에서 권고하는 내용을 살펴보기로 하자.


신원철 | 콤스코프 시스티맥스 기술지원부 차장

TIA606-A 표준의 내용을 먼저 요약해 보도록 하자. 국내의 경우 배선 시스템의 선번을 기입하는 것에 대한 표준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관리자들이 각자 현장에서 나름대로의 선번 기입방식을 따르고 있다. 때문에 이 내용을 처음 접하는 독자에게는 다소 생소한 내용일지도 모르겠다. 건물의 통신 기반 시설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문서는 다음과 같다.
 
·약어표
·통신 기반 시설 기록
·설치된 장비를 위한 기타 기록
 
약어표란 선번 기록을 위한 규칙이다(표 1). 예를 들면 C-1A-112-V라는 선번을 보면, C는 케이블을 의미하고, 1A는 1층의 방A, 112는 단위면적 또는 작업 공간의 번호를, V는 음성을 의미한다. 즉 선번만으로 케이블의 모든 위치 정보를 유추할 수 있는 것이다.
 
통신 기반 시설 기록은 다음과 같다.
 
·A. Pathways Records
·B. Termination Hardware Records
·C. Space Records
·D. Grounding Records
·E. Cable Records
·F. Termination Position Records
 
 
색상을 이용한 접속 자재 구분
패치 패널이나 110블록과 같은 접속 자재에는 라벨의 바탕색을 이용해 접속 자재의 해당 포트가 어떤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표 3)은 TIA/EIA-606 표준이 규정하고 있는 라벨 색상을 보여 준다. 즉 통신실을 처음 방문하는 관리자나 작업자가 라벨의 색상을 보고 바로 이 접속 자재의 반대편 끝이 어느쪽과 연결돼 있는지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림 1)은 (표 3)과 같은 색상 코드를 사용한 예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데이터센터용 선번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서버룸 바닥 표시 번호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의 서버룸 바닥은 이중 바닥으로 설치되는데, 통상 바닥 타일의 크기는 60cm×60cm이다. 따라서 이를 기준으로 바닥에 바둑판 무늬의 격자를 가정해 번호를 부여한다. 이때 한쪽축은 알파벳을, 다른 축은 숫자를 사용한다(그림 2).
 
 
랙과 캐비넷의 번호
모든 랙과 캐비넷의 앞뒤에는 모두 번호가 표시돼 있어야 한다. 이때 번호는 랙과 캐비넷이 설치된 위치의 서버룸 바닥 표시 번호를 이용하며, 랙과 캐비넥의 설치 위치는 바닥 타일의 위치와 일치시키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랙의 전면 오른쪽 모서리를 바닥의 줄과 일치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랙과 캐비넷의 번호는 다음의 공식을 사용해 부여하게 된다(그림 3).
 
NX1Y1 : N은 층의 숫자를 나타내고 X1은 이중 바닥 타일의 한 축의 번호를, Y1은 이중 바닥 타일의 다른 축의 번호를 나타낸다. 즉 3AJ05로 표시된 랙은 랙의 전면부 오른쪽 모서리가 AJ 줄과 05줄에 위치한 3층에 있는 랙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중 바닥이 설치돼 있지 않은 서버룸의 경우에는 임의의 가로와 세로 줄을 설정하면 되고, 인터넷 데이터센터의 방이나 격자로 이루어진 데이터센터의 경우는 방 번호나 격자의 번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패치 패널 번호 부여하기
패치 패널의 번호에는 우선 패치 패널이 설치돼 있는 랙의 번호가 포함돼 있어야 하는데, 이는 알파벳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26개 이상의 패널이 설치될 경우에는 2자리로 표시한다.
 
X1Y1-a : X1Y1은 랙의 번호를 의미하고 a가 패널의 연번을 의미한다. 랙의 맨 위가 A, 가장 아래가 Z로 표시된다.
패치 패널 포트의 번호는 패치 패널 번호 뒤에 일련 번호를 기입해 표시한다.
 
X1Y1-an : 여기서 n이 일련 번호를 나타내며, 24포트 패널의 경우 1에서 24까지, 48포트 패널의 경우 1부터 48까지 표시한다.
 
 
 
패치 패널에는 그 패치 패널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그 패널과 연결된 반대쪽 패널의 정보 역시 표시돼야 한다. 패널의 이름은 다음의 방법으로 표시한다.
 
P1 to P2 : P1과 P2는 랙과 패널의 번호 그리고 포트 번호의 범위를 표시한다.
 
(그림 5)와 (그림 6)은 패치 패널 번호 부여의 한 예이다. 그림은 24포트의 두 패치 패널간을 24조의 카테고리 6 케이블을 이용해 연결할 경우 패치 패널의 번호 부여 방법을 보여 준다.
 
 
 
 
 
케이블과 패치 코드 번호 부여
케이블과 패치 코드 역시 선번을 부여해야 하는데, 이때는 케이블 양단에 설치돼 있는 패치 패널의 이름을 사용한다.
 
P1n/ P2n
 
여기서 P1n은 케이블 한쪽의 랙이나 캐비넷 이름과 패널의 번호를 나타내며, P2n은 반대 쪽의 랙이나 캐비넷의 이름과 패널의 번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그림 6)의 패치 패널에 성단되는 케이블에는 AJ05-A01/AQ03-B01과 같은 번호가 부여된다. 그리고 반대쪽 케이블 끝에는 AQ03-B01/AJ05-A01와 같은 번호가 부여된다.
 
정확한 선번장의 관리와 지능형 패치 패널의 활용
이렇게 규칙적으로 장비와 케비블에 번호를 부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운영상 더욱 중요한 것은 정확한 선번을 유지하는 일이다. 이를 지키기 위해서는 패칭의 변경이 필요할 때 선번장을 먼저 수정한 후 실제 작업을 시행하도록 하는 순서가 필요하다. 필자의 경험상 이 방법이 선번장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유지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패치 패널과 선번장 관리 소프트웨어를 도입하면 지금까지 설명한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시스템 운영관리 방식을 자연스럽게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9. 도서관 > __사.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불카드시스템(PPS)  (0) 2008.10.21
시스코 AS5350과 노텔 교환기 연동 작업 완료  (0) 2008.10.21
voip 용어  (0) 2008.10.20
isdn service (bri,pri)  (0) 2008.10.20
loopback 커넥터는 RJ45  (0) 2008.10.20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