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IP 통화 끊김현상에 대한 점검방법
통신&네트워크 2008/01/15 11:46
데이콤이 VoIP 통화품질이 제일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끊김현상에 대하여 두가지 정도만 점검 방법 알려 드리겠습니다.
① 끊김이 화절 현상이라면...
VoIP G/W 기준으로 교환기와 연결된 부분과 IP로 나가는 부분 Debug해서
교환기에서 끊는 것인지 IP구간에서 끊는것인지 확인 해야 합니다.
이때 교환기 담당하시는 분과 VoIP G/W 담당하신는 분의 도움을 받아야
쉽게 문제 해결 할 수 있을것 같구요.
② 끊김현상이 핸드폰 음영지역에서 통화하는것 처럼 말 중간 중간 끊기는 현상이라면...
인터넷에서 생길 수 있는 Packet loss / Jitter Error / Delay 3가지 문제중에서 통화품질에 악영향을 받는것입니다.
네트워크쪽에 전혀 이상없다고 했는데 어떻게 확인 했는냐에 따라 문제 해결할 수도 있고 못할 수도 있겠네요.
그 중에서 쉽게 잡히지 않는 문제가 어느 제조 회사든 VoIP G/W는 Jitter buffer가 있는데 (보통 30 ~ 200 ms에서 튜닝 가능 함) 네트워크에서 Maxium이상의 Jitter가 생기는 경우이거나 Packet들이 한꺼번에 몰릴때 VoIP G/W는 Jitter buffer max값 이상 들어오는 Packet들은 버리는데 이때 VoIP사용자들은 말이 중간 중간 끊기게 느끼는 것입니다.
네트웍전문가라 해도 Jitter가 어떻게 되는지 순간 트래픽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 하는 전문가는 드물테니깐요.
(트래픽 그리고 ping 한두개 빠지는 Packet loss는 통화 품질에 영양을 주지 않습니다. 순간트래픽, Jitter 가 통화품질에 영향을 줍니다.)
Codec을 G.723.1 보다는 G729로 사용 하는것이 문 해결 방법일 수 있습니다.
Frame Interval이 G723.1(6.3k)은 30ms이고 G.729(8k)는 10ms이기 때문입니다. 대역폭은 늘어 나지만 코딩/인코딩이 3배나 빨라서 Jitter에 좋음
근원적으로 해결을 하려면 네트웍망이 좋아야 겠고,
비용을 들여서라도 통화품질을 잡아야 한다면 QoS 장비를 달아야 겠지만
배보다 배꼽이 크다는 것도 알고 있을테지요?
-끝.
>저는 구내통신기사로일하고있읍니다.
> 회사에서 KT회선과 데이콤VOIP를 쓰고있는데여 회사여건상 시외통화나 국제전화사용률이 많기때문에 거의 VOIP를 많이쓰고있습니다..그런데 가입자들이 너무많은 끊김현상을 요구해서 확인하니 트래픽이나 네트워크쪽으로 전혀 이상이 없다합니다...어떤쪽으로 점검을 해봐야할지....
Trackback 0 : Comment 0끊김현상에 대하여 두가지 정도만 점검 방법 알려 드리겠습니다.
① 끊김이 화절 현상이라면...
VoIP G/W 기준으로 교환기와 연결된 부분과 IP로 나가는 부분 Debug해서
교환기에서 끊는 것인지 IP구간에서 끊는것인지 확인 해야 합니다.
이때 교환기 담당하시는 분과 VoIP G/W 담당하신는 분의 도움을 받아야
쉽게 문제 해결 할 수 있을것 같구요.
② 끊김현상이 핸드폰 음영지역에서 통화하는것 처럼 말 중간 중간 끊기는 현상이라면...
인터넷에서 생길 수 있는 Packet loss / Jitter Error / Delay 3가지 문제중에서 통화품질에 악영향을 받는것입니다.
네트워크쪽에 전혀 이상없다고 했는데 어떻게 확인 했는냐에 따라 문제 해결할 수도 있고 못할 수도 있겠네요.
그 중에서 쉽게 잡히지 않는 문제가 어느 제조 회사든 VoIP G/W는 Jitter buffer가 있는데 (보통 30 ~ 200 ms에서 튜닝 가능 함) 네트워크에서 Maxium이상의 Jitter가 생기는 경우이거나 Packet들이 한꺼번에 몰릴때 VoIP G/W는 Jitter buffer max값 이상 들어오는 Packet들은 버리는데 이때 VoIP사용자들은 말이 중간 중간 끊기게 느끼는 것입니다.
네트웍전문가라 해도 Jitter가 어떻게 되는지 순간 트래픽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 하는 전문가는 드물테니깐요.
(트래픽 그리고 ping 한두개 빠지는 Packet loss는 통화 품질에 영양을 주지 않습니다. 순간트래픽, Jitter 가 통화품질에 영향을 줍니다.)
Codec을 G.723.1 보다는 G729로 사용 하는것이 문 해결 방법일 수 있습니다.
Frame Interval이 G723.1(6.3k)은 30ms이고 G.729(8k)는 10ms이기 때문입니다. 대역폭은 늘어 나지만 코딩/인코딩이 3배나 빨라서 Jitter에 좋음
근원적으로 해결을 하려면 네트웍망이 좋아야 겠고,
비용을 들여서라도 통화품질을 잡아야 한다면 QoS 장비를 달아야 겠지만
배보다 배꼽이 크다는 것도 알고 있을테지요?
-끝.
>저는 구내통신기사로일하고있읍니다.
> 회사에서 KT회선과 데이콤VOIP를 쓰고있는데여 회사여건상 시외통화나 국제전화사용률이 많기때문에 거의 VOIP를 많이쓰고있습니다..그런데 가입자들이 너무많은 끊김현상을 요구해서 확인하니 트래픽이나 네트워크쪽으로 전혀 이상이 없다합니다...어떤쪽으로 점검을 해봐야할지....
'9. 도서관 > __사.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laris Recommend patch return code list (0) | 2009.01.09 |
---|---|
tar (0) | 2009.01.09 |
솔라리스 ufsdump (0) | 2008.12.26 |
우분투 ftp (0) | 2008.12.26 |
초보자를 위한 솔라리스10 테잎드라이브 퍼포먼스 튜닝 가이드 (0) | 2008.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