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9. 도서관/__가. 메뉴얼38 크로스/다이렉트 케이블 만들기 크로스케이블, 다이렉트케이블을 제작하려면 UTP 케이블이 사용된다(UTP케이블은 Category 5 와 Category 6)가 있는데 전송속도면에서 Category 6가 유리하지만 가격의 차이가있다 옆그림은 케이블을 제작할때 필요한 공구와 부품이다 크로스케이블의 제작방법 ◀------------▶ 크로스케이블은 위그림을 참고하여 한쪽 콘넥터를(백황,황,백녹,청,백청,녹,백갈,갈)로 연결하고 반대쪽은(백녹,녹,백황,청,백청,황,백갈,갈)색으로 연결한다 다이렉트케이블의 제작방법 ◀------------▶ 다이렉트케이블은 위그림을 참고하여 양쪽 콘넥터모두를(백황,황,백녹,청,백청,녹,백갈,갈)로 연결한다 ** 청,백청의 배치가 다른가닥의 배치와 다릅니다 . 유의해서 연결하세요. 보통 다이렉트케이블이라 함은 렌.. 9. 도서관/__가. 메뉴얼 2008. 7. 1. wireshark (ethereal) 출처 :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51&MAEULNO=20&no=8042 저번 강좌에 빼먹은 내용중에서 Little Endian / Big Endian 을 언급했어야 하는 후회가 듭니다만, 추후에 프로토콜 분석 시에 간단하게 설명드릴 것으로 약속드리고 넘어가겠습니다 ^^; 이번에는 여러분들이 패킷을 수집하는데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wireshark (ethereal)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이름이 wireshark가 된 이유에 대해서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야 하겠네요. 많은 분들께서 아직도 Ethereal이라는 용어에 익숙하실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름이 wireshark로 변경되게 된 이유는 ethe.. 9. 도서관/__가. 메뉴얼 2008. 6. 17. 이전 1 2 3 4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