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로서 비로소1 비로서 VS 비로소 올바른 맞춤법 확인 학교 과제를 제출하기 위해서 레포트를 제출하고 있었습니다. 비로서가 맞는지 비로소가 맞는지 궁금해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비롯하다의 뜻인 비릇-에 접미사 -오가 붙어 부사가 된 말이므로, 어간에 -이나 -음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다른 품사로 바뀐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는 것의 보기입니다. 비로서 VS 비로소 비로서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비로소가 맞습니다. 비로소로 정착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서의 형태도 나타났지만, 현재는 비로소가 표준어로서 쓰입니다. 아래에 보인 '비로소'의 어원 정보가 참고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비로서 : 잘못된 맞춤법 비로서 : 올바른 맞춤법 비로소의 어원 현대 국어 ‘비로소’의 옛말인 ‘비르소’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비롯하.. 5. Study/__다. 맞춤법 2022. 9. 19.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